주식 용어 5

주가수익비율 ( PER)

주가 수익 비율 (PER)이란 ​ 주가를 주당 순이익으로 나눈 것입니다 ​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. ​ 삼성전자의 주가가 100만 원이고 ​ 주당 순이 이익이 10만 원이라면 ​ PER = 10 입니다. PER 이 작다는 것은 기업이 순이익에 비해 주가가 저평가 되었다는 뜻이며 ​ PER이 크다는 것은 주가가 고평가 되었다는 것입니다. ​ 하지만 무조건 적으로 PER이 낮다고 해서 주가가 저평가되었다는 뜻은 아닙니다. ​ 오히려 발전 가능성이 낮거나 시장에서 소외된 기업 일수 있습니다. ​ 반대로 저평가된 우량주를 미리 매수를 해서 ​ 장기간 보유 하면 리스크 없이 큰수익을 올릴 수도 있습니다.

주식 용어 2020.03.21

주당 순이익 ( EPS)

재무제표에서 EPS는 주식 1주당 *당기순이익입니다. ​ *당기순이익 = 회사가 1년 동안 벌어들인 "순수익" ​ 말 그대로 "순수익"입니다. ​ 쉽게 예를 들어서 ​ 삼성전자의 당기순이익이 10000원이고 ​ 삼성전자의 발행 주식 수가 1000주 라면 EPS = 10 원입니다. ​ 당기 순이익 또한 기업의 재무제표에서 관심 있게 봐야 되는 ​ 지표 중 하나입니다.

주식 용어 2020.03.21

부채 비율

오늘은 부채비율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. ​ 기업의 안정성 때문에 사람들은 ​ 부채비율 100% 이하가 안전하다고 대부분 말합니다. ​ 하지만 ​ 어느 업종이 인지 따라 부채 비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. ​ 특히 금융권. 조선업. 건설업의 부채비율은 타 업종보다 높을수 있습니다. ​ 부채비율은 업종에 따라 구분을 하셔야 되고 과거의 부채비율과 현재의 부티 비율 ​ 여러 가지를 종합적으로 보셔야 됩니다. ​ 기업이 부채를 지지 않고 회사를 운영할 수는 없습니다. ​ 중요한 건 ​ 회사가 어느 정도의 현금자산과 부채를 가지고 회사를 운영하느냐에 따라 ​ 어떻게 보면 기업의 운영에 도움이 될 수도 있습니다. ​

주식 용어 2020.03.21

총자산 순이익률 ( ROA)

ROA는 기업이 경영진이 수익을 내기위해 효율적으로 자본을 분배사용 했는지 나타냅니다. 총자산 이익률 ROA는 기업의 자산인 부채와 자본을 활용해 ​ 얼마의 이익을 창출했는지 알려주는 지표 입니다. ​ ​ ROA가 높은 회사라면 당기순이익이 증가한 회사라고 볼수 있습니다. ​ ROA를 통해 회사가 가지고 있는 자본을 가지고 어느정도의 순이익을 내는지 알수 있습니다. ​ ROE 와 마찬가지로 ROA가 높은 기업이 좋은기업이라고 할수 있습니다. ​

주식 용어 2020.03.21

자기자본 이익률( ROE)

삼성 전자의 재무제표를 가지고 왔습니다. ​ 맨 밑에 보이는 RO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​ ​ ROE는 자기자본 이익률이라고 합니다. - 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만큼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 ​ A라는 기업이 100억 원을 들여서 창업을 한 후 10억의 수익을 냈다면 10% 가 됩니다. ​ ​ ​ 더 쉽게 이야기를 하자면 내가 치킨 매장을 창업했는데 ​ 10억을 들여서 2억의 수익이 났다 그럼 ROE = 20%입니다. ​ 그럼 사장인 나는 5년간 운영을 하면 내가 초기에 투자했던 10억을 회수할 수 있다. ​ 이런 내용입니다. 그만큼 ROE를 20% 운영할 수 있을만한 치킨 사장님의 능력이라든지 ​ 그 이외의 주변 환경이 중요하겠죠? 그래야 체인점도 낼 수 있고 직원들 보너스도 줄 ..

주식 용어 2020.03.21